경계선 지능 [6부] 경계선 지능, 어떻게 진단하고 평가하나요?

by 키블
썸네일

 

경계선 지능 [6부] 경계선 지능, 어떻게 진단하고 평가하나요?

“우리 아이가 또래보다 느린 것 같은데, 어디에서,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경계선 지능(BIF,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은 학습과 사회생활에서 꾸준한 어려움을 보이지만, **‘정신지체’(지적장애)**로 분류되기에는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를 말합니다.
하지만 ‘정확한 평가’ 없이는 아이가 왜 어려움을 겪는지 파악하기 어렵고, 필요한 지원도 받지 못할 수 있어요.

 


 

어떤 경우에 평가를 받아야 하나요?

 

다음과 같은 신호가 반복되면 평가를 고려해보세요

 

  • 또래보다 학습 속도가 느리거나 성취도가 낮을 때
  • 집중력이나 기억력이 떨어지는 모습이 자주 보일 때
  • 말을 이해하거나 표현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릴 때
  • 규칙을 잘 이해하지 못하거나 사회적 상황에서 어색할 때
  • 간단한 일상 업무(옷 입기, 준비물 챙기기 등)에 어려움이 있을 때

 

이런 어려움은 단순한 ‘느린 아이’가 아닌, 인지 기능이나 적응 능력의 문제일 수 있습니다.

 

 

 

경계선 지능 평가에서 무엇을 보나요?

 

경계선 지능 평가의 핵심은 두 가지입니다.

 

1. 지적 능력 평가 (IQ 검사)

  •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도구는 **웩슬러 지능검사 (WISC, WAIS)**입니다.
  • 일반적으로 IQ 70~85 사이일 경우 경계선 지능으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 언어이해, 시공간 처리, 작업기억, 처리속도 등 다양한 영역에서 점수를 확인합니다.

 

2. 적응 행동 평가

지능 점수만으로는 부족해요. 일상생활에서 얼마나 잘 기능하는지도 함께 평가해야 합니다.

  • 사용되는 도구: ABAS, VABS, K-ICF, DABS, ADAPT 등
  • 평가 영역:
    • 개념 영역: 언어, 시간/수 개념, 문제해결 능력 등
    • 사회적 영역: 타인과의 관계, 규칙 이해, 감정 조절
    • 실제 생활 영역: 자기관리, 돈 쓰기, 교통 이용, 학교 과제 등

 

이 두 가지 정보를 종합해야 BIF와 지적장애를 구분할 수 있고, 아이가 실제 어떤 지원이 필요한지도 알 수 있어요.

 

 

 

어디에서 검사를 받을 수 있나요?

 

검사 기관

주요 특징

비용 여부

병원 (소아정신과, 재활의학과, 신경과)전문의 진료와 함께 심리검사 진행 가능건강보험 적용 일부 가능 (병원마다 상이)
지역발달센터 / 발달장애인지원센터아동 발달평가 전문기관, 공공기관 중심대부분 무료 또는 저비용
아동심리상담센터, 치료센터보다 심층적인 검사 가능, 치료 연계 용이비급여, 자비 부담
학교(특수교사 또는 위클래스)초기 의심 시 1차 상담 및 관찰 제공무료, 연계 상담 가능

Tip. 초등학교 입학 전후에 ‘학교생활 부적응’, ‘주의산만’, ‘학습 지연’ 등으로 추천되어 병원이나 상담센터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적장애와 경계선 지능, 무엇이 다를까요?

 

구분

지적장애

경계선 지능

IQ70 이하71~85
적응행동확실한 제한 있음상대적으로 나은 편이지만 어려움 존재
진단코드정신장애로 분류보조적 분류 (DSM: V코드, ICD: R41.8)
지원 범위복지 서비스 등 지원 많음대상에서 누락되는 경우 많음

경계선 지능은 기준을 살짝 넘지만, 실제 생활에서는 충분히 어려움을 겪습니다.
따라서 정밀하고 다면적인 평가가 꼭 필요합니다.

 

 

평가 후, 부모님이 해야 할 일은?

 

  • 결과지에 너무 연연하지 마세요.
    아이의 가능성과 강점도 함께 적혀 있을 거예요. 거기서부터 시작입니다.
     
  • 학교와 소통하세요.
    담임교사, 특수교사와 함께 학습 조절이나 적절한 교육지원을 논의하세요.

 

  • 지지망을 만들어요.
    상담센터, 부모모임, 발달센터 등과 연결되어야 외롭지 않고, 적절한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우리 아이는 특별한 도움이 필요한 ‘조금 다른 평범함’을 가진 아이입니다.”

진단은 ‘낙인’이 아니라 아이를 더 잘 이해하고 도울 수 있는 출발점입니다.
정확한 평가를 통해 아이의 현재 수준과 필요한 도움을 파악하면, 아이의 일상생활, 학습, 감정 조절까지도 한결 수월해질 수 있습니다.

다음 7부에서는 학교생활에서의 어려움과 필요한 지원에 대해 안내해드릴게요.

스크랩
공유
이런 콘텐츠는 어떠세요?
반드시 아이만의 때가 올 거예요!
반드시 아이만의 때가 올 거예요!- 유년 시절, 활발하고 동작과 행동이 컸지만 타인에게 피해 주지 않아 ADHD 인지 부족- 산만하고, 물건을 잘 잃어 버리고, 횡설수설하는 성격 모두 내 탓인 줄 알고 자책 많이해- 아이에게 지속적이고 반복해서 ADHD 증상으로 의심 시그널이 나타나면 병원 진단 받아야- 인스타툰을 시작한 것도 ADHD 인식을 높이고 조기 치료를 받게 하는 것이 목표
by 순키
콘텐츠 썸네일
자폐 아이를 키우는 엄마 마음에 짐이 되는 말
자폐 아이를 키우며 마음에 짐이 되는 말- 너무 예민한 거 아니야?- 너 참 존경스럽다.- 내가 아는 애는…- 원인이 뭐래?- 이런 거 하면 낫는대- 곧 좋아질거야 콘텐츠 제작 : 희수엄마올해 초등학교에 입학한 느린 아이를 키우고 있으며 이번 콘텐츠는 ‘느리게 살아가는 방법’ 블로그를 운영 중입니다. 희수엄마 블로그 바로 가기
by 희수엄마
콘텐츠 썸네일
자폐스팩트럼장애 5부 성장하는 ASD 아동, 청소년과 성인을 위한 지원과 치료
자폐스팩트럼장애 5부: 성장하는 자폐스팩트럼장애 (ASD) 아동, 청소년과 성인을 위한 지원과 치료 어린 시절부터 적절한 치료와 지원을 받으면
by 키블
콘텐츠 썸네일
#3. 언어 검사, 꼭 필요한가요?
언어 검사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1) 영유아 언어발달선별검사• 2)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 검사 (PRES)• 3) 수용•표현 어휘검사 (REVT)• 4) 조음•음운 검사 (U-TAP)👉 발달검사의 목적은 아동의 문제가 단순 언어지연인지, 복합적 발달장애인지 확인하는 것도 포함돼요. 언어치료의 목표와 계획을 수립하고 치료 결과를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객관적인 검사 결과를 보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by 의사 함경우
콘텐츠 썸네일
오늘도 좋은 일이 오려나봐요
일본에서 느린아이를 키우며, <오늘도 좋은 일이 오려나봐요>, <그림으로 말하는 아이>를 출간, 아이도 3번의 그림 전시를
by 고현선
콘텐츠 썸네일
자폐스팩트럼장애 6부 ASD 자주 묻는 질문 (FAQ)
[6부]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자주 묻는 질문 (FAQ)자폐 스펙트럼 장애(ASD)에 대해 궁금한 점이 많으시죠?많은 부모님들이 ASD의
by 키블
콘텐츠 썸네일
상호명: (주)키블 | 대표자: 함경우 | 개인정보취급담당자: 함경우
사업자등록번호: 169-88-02834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520, 삼안빌딩 14층
KIVEL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