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부]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자주 묻는 질문 (FAQ)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에 대해 궁금한 점이 많으시죠?
많은 부모님들이 ASD의 원인, 진단, 치료, 관련 질환 등에 대해 여러 가지 질문을 하세요. 과학적으로 검증된 정보를 바탕으로 자주 묻는 질문들을 쉽게 정리해봤어요. 아이를 키우면서 궁금했던 부분이 있다면 꼭 읽어보세요! 😊
Q. 백신이 자폐를 유발할까?
결론부터 말하면, 백신과 자폐 사이에는 과학적으로 입증된 연관성이 없어요.
과거 한 연구에서 MMR(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 백신이 자폐를 유발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지만, 해당 연구는 조작된 것으로 밝혀졌고 이후 논문이 철회되었어요.
국내외 연구에서도 백신과 자폐의 연관성을 찾지 못했어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와 세계보건기구(WHO)는 백신과 자폐 사이에 관련성이 없다고 발표했어요.
국내에서도 질병관리청이 백신과 자폐의 관계를 연구했지만, 백신이 자폐를 유발하지 않는다는 것이 확인되었어요.
오히려 백신을 맞지 않으면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같은 감염병에 걸릴 위험이 커지고, 심하면 후유증이 남을 수도 있어요.
👉 관련 자료
Q. 자폐 진단을 받는 아이들이 늘어나고 있는 걸까?
네, 자폐 진단을 받는 아이들이 증가하고 있어요. 하지만 이는 자폐 자체가 늘었다기보다는 진단 기준이 확대되고, 조기 진단이 활성화되었기 때문이에요.
왜 자폐 진단율이 증가했을까?
조기 진단이 가능해졌어요. 과거에는 자폐가 심한 경우에만 진단을 받았지만, 이제는 경증 자폐(아스퍼거 증후군 포함)도 ASD로 포함되면서 진단을 더 많이 받게 되었어요.
부모님과 교사들의 인식이 높아졌어요. 예전에는 "말이 늦어요" 정도로만 생각했던 증상을 이제는 자폐 가능성으로 보고 조기에 검사를 받는 경우가 많아요.
진단 기준이 변화했어요. DSM-5(미국 정신질환 진단 기준)에서는 기존의 자폐 장애, 아스퍼거 증후군, 비정형 자폐 등을 모두 ASD로 통합했어요.
우리나라에서도 자폐 진단을 받는 아동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요. 조기에 진단받으면 치료와 교육을 통해 아이가 더 좋은 환경에서 성장할 수 있어요.
👉 관련 자료
Q. 성인도 자폐 진단을 받을 수 있을까?
네, 성인도 자폐 진단을 받을 수 있어요. 하지만 성인기에 자폐를 진단받는 경우는 비교적 적어요.
왜 성인 자폐 진단이 어려울까?
어릴 때의 발달 기록이 부족해요. ASD 진단에는 유아기 행동 관찰이 중요한데, 성인이 된 후에는 정확한 발달 기록을 확보하기 어려워요.
사회에 적응하면서 증상이 가려질 수 있어요. 많은 성인 ASD 환자들은 자신만의 방식으로 사회에 적응해왔기 때문에, 명확한 진단을 받기가 어려울 수 있어요.
다른 정신 건강 문제와 혼동될 수 있어요. 성인 ASD는 ADHD, 불안장애, 우울증 등으로 오진되는 경우가 많아요.
최근에는 성인 자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성인기 ASD 진단을 위한 검사도 진행되고 있어요. 성인 ASD가 의심된다면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좋아요.
👉 관련 자료
Q. 미토콘드리아 질환과 자폐는 관련이 있을까?
일부 연구에서는 미토콘드리아 기능 저하가 자폐와 관련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어요.
미토콘드리아는 세포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해요. 미토콘드리아 기능이 저하되면 신경계에 영향을 미쳐 발달 지연이나 운동 장애가 나타날 수 있어요.
미토콘드리아 기능이 저하된 일부 아동이 자폐 증상을 보이기도 하지만, 모든 자폐 아동이 미토콘드리아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에요.
미토콘드리아 기능 이상이 있는 경우 나타날 수 있는 증상
발달이 지연되다가 갑자기 후퇴하는 경우
반복적인 발작(뇌전증)
근육 저하 및 피로
자폐 아동 중 위와 같은 증상이 있다면, 미토콘드리아 질환 검사를 고려해볼 수도 있어요.
👉 관련 자료
💡미토콘드리아 질환이 더 궁금해요!💡
1. 우리아이에게도 미토콘드리아 질환이? 모든 자폐 아동이 미토콘드리아 질환 검사를 받을 필요는 없어요. 하지만 아래와 같은 증상이 있다면 검사를 고려해볼 수 있어요. ✔ 원인 불명의 발작(뇌전증) 걱정된다면,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또는 희귀질환 전문 병원에서 상담해보세요.
2. 백신과 미토콘드리아 질환의 관계 현재까지 백신이 미토콘드리아 질환을 악화시킨다는 과학적 증거는 없어요. 오히려 백신을 맞지 않으면 홍역이나 독감 같은 감염병에 걸릴 위험이 커지고, 미토콘드리아 질환이 있는 경우 더 심각한 영향을 받을 수 있어요. 감염병이 미토콘드리아 기능 저하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백신 접종이 더 중요해요. 백신을 맞기 전, 걱정되는 부분이 있다면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좋아요.
👉 관련 자료
|
부모님들께 도움이 되는 정보였길 바라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