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서비스 바우처 5편: 본인부담금 및 서비스 비용

by 키블
썸네일

 

5편:  본인부담금 및 서비스 비용

 

 

 

본인부담금이란 무엇인가요?

 

본인부담금은 정부에서 제공하는 사회서비스의 비용 중 이용자가 일부를 부담하는 금액이에요. 이는 정부 지원금과 함께 서비스 제공 비용을 충당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이유로 중요해요.

 

서비스의 책임감 강화: 본인부담금을 통해 서비스의 가치를 인식하고 성실히 이용하게 됩니다.

사회서비스 시장 활성화: 본인부담금 제도는 이용자와 제공기관 모두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합니다.

 

 

 

본인부담금의 납부 방식

 

본인부담금은 다음 방법으로 납부할 수 있습니다

 

계좌 입금
제공기관이 안내한 계좌로 본인부담금을 이체합니다. 이체 시, 정확한 금액과 계좌 정보를 확인하고 입금자명을 명확히 기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카드 결제

국민행복카드를 통해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습니다.

카드 결제는 바우처 시스템과 연동되어 서비스 이용과 비용 정산이 더욱 편리합니다.

 

현금 납부

제공기관에 직접 납부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반드시 영수증을 발급받아 보관해야 합니다.

영수증은 추후 문제 발생 시 중요한 증빙 자료가 됩니다.

본인부담금의 납부 기한

2월에 서비스를 이용했다면 2월 말일까지 본인부담금을 납부해야 해요.

납부 기한을 지키지 않으면 서비스 이용이 제한될 수 있으니,

반드시 기한을 확인하고 납부를 완료하세요.

 

 

본인부담금 환급 기준

 

이용자가 서비스를 중단하거나, 제공기관의 사유로 인해 서비스를 받지 못한 경우에는 본인부담금이 환급됩니다. 

 

제공기관의 귀책 사유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은 경우, 본인부담금의 100% 환급

 

이용자의 귀책 사유

서비스 이용이 50% 이하일 경우: 본인부담금의 50% 환급.

서비스 이용이 50%를 초과한 경우: 환급 불가.

 

무단결석 시

이용자가 별도 통보 없이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해당 서비스에 대한 본인부담금은 환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는 이용자와 제공기관 간의 신뢰를 유지하고, 서비스 제공의 효율성을 보장하기 위한 정책입니다.

 

무단결석과 서비스 중단의 차이점

무단결석

서비스 예약일에 사전 통보 없이 이용하지 않은 경우로,

본인부담금 환급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서비스 중단

이용자가 개인 사정으로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기로 결정한 경우,

남은 서비스에 대한 본인부담금을 일부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후원을 통한 본인부담금 지원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가구를 위해 본인부담금을 지원하는 후원제도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후원자는 이용자에게 직접 후원금을 지원해야 하며, 제공기관이 대신 관리할 수 없습니다.

이용자는 후원금을 활용하여 자신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자유롭게 선택하고 결제할 수 있습니다.

 

 

 

본인부담금과 서비스 비용 관리의 투명성

 

모든 서비스 비용은 전자바우처 시스템을 통해 투명하게 관리됩니다. 부모님께서는 다음 방법으로 본인부담금과 서비스 비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자바우처 포털(홈페이지)

로그인 후 서비스 내역, 잔액, 결제 기록 등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주소: www.socialservice.or.kr

 

ARS 시스템(1644-9911)

간단한 전화 인증을 통해 바우처 잔액과 결제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공기관 문의

서비스를 제공받은 기관에 직접 연락하여 본인부담금 및 서비스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TIP

 

매월 본인부담금 납부 상태를 확인하세요.
자동 이체를 설정하거나, 달력에 납부 기한을 기록해 두시면 편리합니다.

 

서비스 내역과 영수증을 꼼꼼히 보관하세요.
추후 문제가 발생할 경우 중요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문의는 적극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생기는 궁금증이나 불편 사항은 바로 제공기관이나 주민센터에 문의하세요. 문제가 더 커지기 전에 해결할 수 있습니다.

 

후원을 활용해 보세요.
본인부담금을 후원받을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고, 필요시 도움을 요청하세요.

 

 

 

본인부담금과 서비스 비용은 부모님께서 서비스를 더욱 효율적이고 책임감 있게 이용하도록 돕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위 내용을 참고하여 지역사회서비스를 통해 더 풍요롭고 안정된 생활을 누리시길 바랍니다. 😊

스크랩
공유
이런 콘텐츠는 어떠세요?
지역사회서비스 바우처 7편: 제공 기관 및 제공 인력
7편: 제공 기관 및 제공 인력 등록된 서비스 제공 기관 찾기 지역사회서비스를 이용하려면 등록된 제공 기관을 선택해야 합니다. 제공 기관은 각
by 키블
콘텐츠 썸네일
#4. 언어치료 비용과 기간은?
기관별 언어치료 비용(바우처)과 치료 기간• 1) 언어치료의 기간• 2) 언어치료의 비용 - 병원, 발달센터, 복지관• 3) 바우처를 통한 비용지원👉 치료 기간은 아동마다 다르겠지만 보통 최소 6개월 ~ 1년을 기준으로 생각하고, 아이들의 발달/성장 속도에 따라 2년 이상 치료를 지속하기도 합니다. 비용의 경우 지역, 언어치료사 경력, 치료 횟수 및 기간에 따라 상이합니다. 병원의 경우 세션당 평균 7~10만원 가량, 발달센터의 경우 5~10만원 가량 발생합니다. 👀 [언어 치료 비용은 어느정도일까?] 요약•종합병원, 전문의원(소아과, 재활의학과)에서 언어치료를 받을 수 있으며 실비보험 청구가 가능합니다.•사설센터는 병원/복지관에 비해 선택의 폭이 넓으며 기관에 따라 바우처 적용이 되는 곳이 많습니다.•일반적으로 복지관에서 언어치료는 세션 당 단가가 저렴하지만 대기가 굉장히 깁니다.
by 의사 함경우
콘텐츠 썸네일
#7. [발달 체크리스트] 우리 아이 잘 크고 있나요? : 18개월 아기 발달​
안녕하세요, 키블(KIVEL)입니다!😆오늘은 18개월 아이의 사회적 감정부터 소근육 운동까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ⅰ) 사회성 감정 ① 친
by 키블
콘텐츠 썸네일
반드시 아이만의 때가 올 거예요!
반드시 아이만의 때가 올 거예요!- 유년 시절, 활발하고 동작과 행동이 컸지만 타인에게 피해 주지 않아 ADHD 인지 부족- 산만하고, 물건을 잘 잃어 버리고, 횡설수설하는 성격 모두 내 탓인 줄 알고 자책 많이해- 아이에게 지속적이고 반복해서 ADHD 증상으로 의심 시그널이 나타나면 병원 진단 받아야- 인스타툰을 시작한 것도 ADHD 인식을 높이고 조기 치료를 받게 하는 것이 목표
by 순키
콘텐츠 썸네일
다름의 가치가 존중받을 때까지
Q. 안녕하세요?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네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저는 울산에서 발달장애인을 위한 사회적기업 다다름미술앤디자인 주식회사의 대
by 이정희
콘텐츠 썸네일
작은 진심이 모여, 경계를 허물 때까지
느린학습자에 대한 낮은 사회적 인식은 학교와 사회, 그리고 가정 안에서 조차 당사자를 사회적으로 고립시킵니다.​마치 아이의 어려움이 곧 엄마의
by 신순옥
콘텐츠 썸네일
상호명: (주)키블 | 대표자: 함경우 | 개인정보취급담당자: 함경우
사업자등록번호: 169-88-02834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520, 삼안빌딩 14층
KIVEL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