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발달 체크리스트] 우리 아이 잘 크고 있나요? : 2세 아기 발달​

by 키블
썸네일

 

2세 아이의 사회적 감정부터 소근육 운동까지 알아볼까요?

 

 

1. 사회성 감정

 

| 2세 사회성 발달의 특징 |

 

  • 어른들의 행동을 모방할 수 있어요 
    사고력과 기억력이 발달하면서 경험한 것을 즉시 모방하는 능력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의 시간이 지난 후에도 모방할 수 있는 능력이 생깁니다. 새로운 행동을 가르쳐주면 바로 따라 하지 않다가 시간이 지난 후 따라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 또래와 어울리는 것을 좋아해요
    이 시기의 아이들은 또래를 좋아해서 친구들에게 자연스럽게 다가갑니다. 하지만 아직 친구와 노는 방식을 잘 모르기 때문에 자기 물건에 대한 소유욕이 발달하였기 때문에 장난감을 나누어 갖거나 순서를 교환하는 것을 하지 못합니다.

 

  • 스스로 하려고 해요
    의존성과 독립성이 함께 발달하면서 자신의 힘으로 할 수 있는 일은 혼자 하려고 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혼자서 밥을 먹고, 혼자서 옷을 입으려고 하면서 성취감을 느끼고 자신감을 느끼게 됩니다.

 

  • 반항적인 행동을 해요
    자율성이 발달하고 자기 능력을 시험하려고 하면서 혼자 하는 것을 방해하면 울거나 짜증을 냅니다. 신발 신는 것을 도와주려고 하면 울거나 신발을 던지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자율성과 자기 효능감이 발달할 때 보이는 자연스러운 감정이므로 스스로 깨달을 수 있는 시간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2. 언어 및 의사소통

 

| 2세 언어 발달의 특징 |

 

  • 친밀한 사람들의 이름을 인지해요
    이 시기의 아이들은 친밀한 사람들의 이름을 인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기만의 단어를 말하기도 합니다. "시계"를 "시시"나 "시"라고 말하거나, "고모"를 "모"라고 발음하기도 합니다.

 

  • 신체 부위의 이름을 알아요
    코를 가리키면서 "이게 뭐야"하고 물으면 "코"라고 대답하는 등 이 시기의 아이들은 3~4가지 정도의 신체 명칭을 압니다.

 

  • 두 단어를 연결할 수 있어요
    "엄마 맘마", "엄마 물" 등 두 단어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바를 전달합니다. 한 단어를 표현하던 시기보다 정확하게 자기 생각을 표현하지만 몸짓과 표정을 더욱 활용하여 의사소통합니다.

 

  • 이름을 말하면 그림이나 사물을 가리켜요
    이 시기의 아이들은 낱말카드를 활용하여 단어 맞추기 놀이를 할 수 있습니다. 이름을 말하면 그림이나 사물을 가리킬 수 있습니다.

 

 

 

 

3. 인지 발달

 

| 2세 인지 발달의 특징 |

 

  • 색깔, 모양을 구별할 수 있어요
    이 시기의 아이들은 색깔과 모양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양한 색깔과 모양을 가진 장난감으로 놀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 두 단계 지시를 따를 수 있어요
    이 시기의 아이들은 간단한 지시를 이해하고 수행할 수 있습니다. "휴지 가져다주세요.", "식탁 위에 컵 올려놔 주세요" 등의 간단한 지시를 내리고 행동했을 때 칭찬을 해준다면 무척 즐거워하는 아이의 모습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 그림을 보고 개, 고양이 등과 같은 명칭을 말할 수 있어요
    그림을 보고 개, 고양이 등과 같은 명칭을 말할 수 있으므로 낱말카드를 활용하여 놀아줄 수 있습니다.

 

 

 

 

3. 대근육 운동

 

| 2세 대근육 발달의 특징 |

 

  • 공을 찰 수 있어요
    아이의 근육 발달을 위하여 공놀이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 시기의 아이들은 공을 찰 수 있고 공놀이를 통해 신체 조절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 달리기와 두 발 뛰기를 할 수 있어요
    마음껏 걷고, 뛰고, 구를 기회를 주는 것은 대근육 발달에 큰 도움이 됩니다. 달리기와 두 발 뛰기를 할 수 있는 시기이므로 안전한 풀밭이나 모래가 있는 놀이터에서 몸을 크게 움직이면서 놀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가구에 스스로 기어오르고 내려올 수 있어요
    아이가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가구에 스스로 기어오르거나 가구에서 스스로 내려올 수 있습니다. 자기 몸을 뜻하는 대로 움직이면서 오는 기쁨을 즐기는 시기이므로 "안돼"라는 말보다 안전한 환경을 마련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 붙잡고 계단을 오르내릴 수 있어요
    이 시기의 아이들은 근육의 조절력이 좋아지면서 손을 붙잡거나 난간을 붙잡고 계단을 오르내릴 수 있습니다.

 

 

 

 

3. 소근육 운동

 

| 2세 소근육 발달의 특징 |

 

  • 우세손 현상이 나타날 수 있어요
    이 시기의 아이들은 한쪽 손만 사용하는 우세손 현상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 블록을 4개 이상 쌓을 수 있어요
    블록을 쌓아 올리기 위해서는 블록을 잡는 능력과 손가락 또는 손목의 조정 능력이 발달해야 합니다. 이 시기의 아이들은 3~6개 정도의 블록을 쌓아서 탑을 만들 수 있습니다.

 

  • 공을 던질 수 있어요

 

  • 직선을 그을 수 있어요
    24개월경의 아이들은 손목과 손가락 관절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수직선과 원을 모방하여 그릴 수 있습니다.

 

 

 

 

※ 발달 지연을 식별하기 위해 발달지표에 관한 지식에만 의존하는 것은 위험하므로 발달 지연의 조기 발견을 위해서는 아동에 대한 세심한 진찰과 검증되고 표준화된 평가도구를 이용한 선별검사가 필요합니다. ※

스크랩
공유
이런 콘텐츠는 어떠세요?
#4. [발달 체크리스트] 우리 아이 잘 크고 있나요? : 6개월 아기 발달​
안녕하세요, 키블입니다. 6개월 아이의 사회성부터 소근육 운동까지 발달 내용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ⅰ) 사회성 감정 ① 낯을 가려요 낯가
by 키블
콘텐츠 썸네일
내 아이에게 꼭 맞는 아동발달센터 고르는 방법
내 아이에게 꼭 맞는 아동발달센터 고르는 방법- 병원 vs. 센터는 같은 곳일까요?- 아동발달센터의 약력, 선생님의 경력 체크하셨나요?- 불안감을 자극하지 않나요?- 치료사 선생님과 아이와 합이 잘 맞나요?- 이동 시간과 주차가 편리한가요?- 선생님의 피드백, 집에서 잘 하고 계시죠? 콘텐츠 제작: 재재닝아이와 여행과 체험을 많이 하는 삶을 살아가고 있으며, '재재네 여행일기' 블로그를 운영 중입니다.재재닝 블로그 바로가기
by 재재닝
콘텐츠 썸네일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음악으로 만드는 보통의 삶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음악으로 만드는 보통의 삶-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일하며 살아가는 자립공동체를 이루어 진정한 사회 통합 목표- 아침 조회 시간마다 칭찬릴레이를 진행 해 서로를 칭찬하며 화합의 장 마련- 제일 큰 성과는 통합오케스트라로서 장애인 표준사업장을 설립해 장애인과 비장애인 연주자를 고용할 수 있게 된 것- 독보적인 아인스바움만의 장르를 만들어 내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중
by 이현주
콘텐츠 썸네일
[발달검사] 한국 영유아선별검사(K-DST) 총정리
영유아 검진 시 진행하는 K-DST에 대해 알아볼까요?• 1) 한국 영유아 발달선별검사란?• 2) 검사의 기본 구성• 3) 검사 척도 구성 및 내용• 4)K-DST 검사의 진행 및 결과👉 K-DST는 다양한 영역에서 습득하는 발달기술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발달의 문제가 있는 영유아를 선별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대근육운동, 소근육운동, 인지, 언어, 사회성, 자조 영역으로 각 영역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검사 결과는 '심화평가권고' 혹은 '추적평가 요망'인 경우 정밀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관련 기관에 의뢰합니다.
by 키블
콘텐츠 썸네일
장애아동가족 지원사업 3편: 지원 내용
3편: 지원 내용장애아동 가족지원 사업은 자녀의 발달을 돕고, 부모님의 양육 부담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발달재활서비스
by 키블
콘텐츠 썸네일
장애아동가족 지원사업 2편: 지원 대상
2편: 지원 대상장애아동 가족지원 사업의 지원 대상을 이해하면, 자신의 자녀가 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by 키블
콘텐츠 썸네일
상호명: (주)키블 | 대표자: 함경우 | 개인정보취급담당자: 함경우
사업자등록번호: 169-88-02834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520, 삼안빌딩 14층
KIVEL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