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용언어장애 [1부] 화용언어장애란 무엇인가요? -우리 아이, 말은 잘하는데 왜 대화가 어색할까요?

by 키블
썸네일

화용언어장애 [1부] 화용언어장애란 무엇인가요?

- 우리 아이, 말은 잘하는데 왜 대화가 어색할까요?

 

아이의 말을 듣고 있으면 단어도 다양하게 쓰고 문장도 그럴듯하게 잘 만들어요. 그런데 막상 또래 친구들과 어울릴 때 보면, 대화가 잘 이어지지 않거나, 상황에 맞지 않는 말을 해서 어색해질 때가 있죠.
혹시 이런 모습이 반복된다면, '화용언어장애'를 의심해볼 수 있어요.

 

말하기에도 여러 종류가 있어요

 

많은 부모님들이 아이의 언어 발달을 생각할 때 보통 '단어 수'나 '문장 길이', '발음 정확도' 같은 걸 먼저 떠올려요.

그런데 '언어를 잘 한다'는 건 단어를 많이 아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아요.
우리가 누군가와 대화를 잘 이어나가기 위해서는, 언어를 사회적인 상황에 맞게 사용하는 능력, 즉 화용언어 능력이 필요해요.

 

예를 들어 이런 상황을 한 번 생각해보세요

 

👧 “오늘 내 강아지 죽었어.”
👦 “그래? 나도 어제 아이스크림 먹었어.”

 

이 대화, 어딘가 이상하죠?
두 아이 모두 문장도 잘 만들고, 단어도 잘 썼지만, 서로의 감정을 고려하거나 대화 흐름을 이해하진 못했어요.
이런 걸 ‘화용언어(pragmatic language)’의 문제라고 해요.

 

 

화용언어장애란 무엇인가요?

 

화용언어장애(Social (Pragmatic) Communication Disorder, SPCD)는 아이가 말은 하지만, 그 말을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어려움을 보이는 언어장애예요.

구조적인 언어 능력(문법, 어휘 등)은 정상일 수 있지만, 사회적 맥락에서 말하는 방식에 문제가 생기는 거예요.

 

좀 더 구체적으로는 이런 부분에서 어려움이 있어요

화용언어 장애를 가진 아이들의 어려움

1. 말 순서를 지키거나 대화를 주고받는 데 어려움

2. 상대방의 말투나 표정을 잘 파악하지 못함

3. 농담, 비유, 빈정거림 등을 문자 그대로 받아들임

4. 상황에 맞지 않게 너무 솔직하거나 엉뚱한 말을 함

5. 대화가 일방적이거나 너무 장황해서 듣는 사람이 피곤함

이런 특성 때문에 친구를 사귀는 데 어려움이 생기기도 하고, 종종 사회성 부족으로 오해받을 수 있어요.

 

 꼭 자폐는 아니에요

 

화용언어장애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와 비슷해 보일 수 있지만, 명확한 차이가 있어요.


자폐 아동은 일반적으로 반복적인 행동이나 제한된 관심사감각 예민성 등을 함께 보이는데,

화용언어장애는 그런 특성 없이 '대화의 맥락 이해'에만 어려움을 보이는 경우가 많아요.

 

그래서 최근에는 DSM-5 진단 기준에 'Social (Pragmatic) Communication Disorder'라는 별도의 이름으로 따로 구분되고 있어요.
이로 인해 자폐로 오진되던 많은 아이들이 보다 정확한 평가를 받을 수 있게 되었죠.

 

 "그럼 말문이 트였으니 걱정 안 해도 되겠죠?"

 

이 질문을 많이들 하세요. 실제로 문장도 잘 만들고, 단어도 척척 사용하는 아이를 보면 ‘언어는 문제없다’고 생각하기 쉬워요.
하지만 ‘대화가 잘 이어지는가’,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이해하고 적절히 말하는가’와 같은 **‘언어 사용 능력’**이 중요한 포인트예요.

즉, 말은 잘해도 **‘상황 파악을 못 하는 말’**을 자주 한다면, 그건 화용언어 문제일 수 있어요.

 

 

가정에서 아이와 체크해볼 수 있는 질문 5가지

아이가 상황에 어울리지 않는 말을 자주 하나요? 
대화를 일방적으로 이끌거나, 자기 얘기만 하나요? 
상대방의 표정이나 말투를 잘 파악하지 못하나요? 
친구들과 자연스럽게 어울리기 힘들어하나요? 
농담, 비유, 빈정거림 등을 이해하지 못하나요? 

아래 질문 중 여러 개에 ‘그렇다’라고 답하신다면, 언어 전문가와의 상담을 고려해보세요.

 

 

 

아이의 대화에서 어색함이 느껴진다고 해서 너무 걱정하실 필요는 없어요.
화용언어는 훈련을 통해 충분히 향상될 수 있는 능력이에요. 중요한 건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개입을 시작하는 것’**이죠.

앞으로 이어질 2부에서는 화용언어장애의 구체적인 특징과 자주 보이는 행동들을 더 자세히 소개해드릴게요.
우리 아이의 언어 발달, 조금 더 깊이 이해해볼 준비 되셨나요?

 

스크랩
공유
이런 콘텐츠는 어떠세요?
특수학교 새 학기 적응, 우리 이렇게 해봐요
특수학교 새 학기 적응 우리 이렇게 해봐요 - 선생님이 선호하는 소통 방법 체크하기 - 평소 가정에서 친구의 이름을 긍정적인 상황 속에서 자주 넣어서 불러주기 - 학부모 상담은 학부모의 권리, 선생님에게 전달할 아이의 중요한 정보 미리 준비 인터뷰 대상자 : 꿀이엄마중학생 느린아이를 키우고 있으며, 아이를 위해 ABA와 언어 치료를 공부해서 언어재활사 2급, BCBA를 취득했고 네이버 포스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꿀이엄마 포스트 바로가기
by 꿀이엄마
콘텐츠 썸네일
ADHD [7부] ADHD 아이, 이렇게 도와주세요 – 행동 조절 꿀팁 10가지
ADHD [7부] ADHD 아이, 이렇게 도와주세요 – 행동 조절 꿀팁 10가지ADHD 아이들은 ‘일부러 말을 안 듣는 게 아니라’,그 상황에서
by 키블
콘텐츠 썸네일
'엄마표'가 아닌 '아이표'가 되어야 합니다
홈스쿨링, 공동육아로 아이를 키우고 싶은 부모님들이 참 많으실 것 같습니다.​하지만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 지, 홈스쿨링과 공동육아가 나
by 윤정은
콘텐츠 썸네일
느리게 살아가는 방법
아이를 잘 챙기는 것 만큼이나 엄마를 잘 챙기는 것도 중요하죠.​느린 아이를 양육하면서 엄마 마음을 잘 챙기며 여행으로 아이와 가족과 행복한 시
by 희수 엄마
콘텐츠 썸네일
자폐스팩트럼장애 3부-1 보완대체의사소통(ACC)이란
자폐스펙트럼 장애 3-1부 :보완대체의사소통(AAC)이란? 아이의 언어 발달이 또래보다 늦거나, 말을 통한 의사소통이 어려운 경우 부모님으로서는
by 키블
콘텐츠 썸네일
스케치북을 찢던 아이가 화가로 전시 활동을 하기 까지
스케치북을 찢던 아이가 화가로 전시 활동을 하기 까지- 또래들이 좋아하는 미술 활동에 대한 거부감이 심했던 아이- 아이가 색과 친해지게 해 주고 싶어서 가정에서 다양한 노력- 일기를 꾸준히 쓰는 비결은 틀려도 격려를 많이 했던 것이 주효- 아이와 여행을 자주 다니고 있으며, 여행 장소는 시우가 선택하도록 지원- 시우의 꿈과 미래는 무궁무진하다는 생각, 다양한 활동을 힘 닿는 데 까지 지원할 계획- 본인이 선택한 인생을 살고, 설령 그 선택이 아쉬워도 취미로써 즐거운 사람이 되길 바래 인터뷰 대상자 : 선시우 작가 어머님만 10살 자폐성 장애가 있으며 그림 그리는 것을 좋아하는 선시우 군의 엄마입니다.시우의 일상이야기 바로가기
by 선시우 작가 어머님
콘텐츠 썸네일
상호명: (주)키블 | 대표자: 함경우 | 개인정보취급담당자: 함경우
사업자등록번호: 169-88-02834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520, 삼안빌딩 14층
KIVEL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