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용언어장애 [3부] 화용언어장애와 행동 문제의 숨은 연결고리
- 우리 아이가 산만하고 친구랑 자주 싸우는 이유?
“말은 잘하는데 자꾸 친구랑 부딪혀요.”
“아이가 산만하고, 혼자 말하거나 다른 아이들 말을 끊어요.”
“감정 조절이 어렵고, 때로는 화를 참지 못해요.”
이런 행동이 반복된다면, 단순한 성격 문제나 훈육 부족이 아닐 수도 있어요.
아이의 ‘말하는 방식’이 행동 문제로 이어지고 있을 가능성, 생각해보셨나요?
화용언어장애와 행동 문제, 왜 함께 나타날까요?
화용언어장애가 있는 아이들은 사회적 상황을 해석하고 반응하는 능력에 어려움이 있어요.
이로 인해 오해가 생기고,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잘 전달하지 못하게 되며, 이것이 점점 행동 문제로 나타나게 되죠.
예를 들어 이런 경우가 있어요:
말로 갈등을 해결하거나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이 부족하니, 행동으로 반응하게 되는 거예요.
실제 연구 결과로 본 연관성 |
네덜란드의 대규모 연구(2010, Helland et al.)에서는 4세 아동 1,300여 명을 대상으로 언어 능력과 행동 문제의 상관관계를 조사했어요. 그 결과:
🔎 요약하면: **"말을 잘해도, 말 ‘사용’이 서툴면 행동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거죠. 📚 연구 출처: |
왜 이런 행동 문제가 생길까요?
원인 | 설명 | 행동으로 나타나는 모습 |
감정 표현의 어려움 | "기분이 나빠"라는 말을 못하고 행동으로 표현 | 울기, 소리 지르기, 짜증 |
사회적 단서 해석 미숙 | 상대방 말의 의도나 표정을 잘 이해 못함 | 갑작스런 화, 오해, 친구와 다툼 |
좌절감 | 소통이 잘 안 될 때의 속상함 | 주의 산만, 수업 방해, 반항 |
자기중심적 사고 | 다른 사람 관점에서 생각하는 능력이 약함 | 자기 말만 함, 협동 어려움 |
사례로 보는 화용언어장애 & 행동 문제
사례 – 5세 여아, 자주 짜증내고 친구들과 자주 충돌
엄마는 “아이가 감정 기복이 심하고 친구랑 자꾸 싸운다고 해요. 그런데 말은 정말 잘해요.”
유치원 선생님은 “대화 중 순서를 못 지키고, 친구 말을 끊는 경우가 많아요. 대화를 나누기보다 혼자 말하는 시간이 많아요.”
🔎 분석: 감정을 조절하거나 타인의 반응을 이해하는 능력이 부족해, 사회적 좌절이 쌓이면서 공격성으로 이어질 수 있음. → 화용언어장애 가능성 높음
화용언어장애 아동이 흔히 보이는 행동 유형
행동 유형 | 설명 | 왜 이런 행동을 하나요? |
산만함 / 충동성 | 수업 중 자리 이탈, 불쑥 말하기 | 대화 규칙 이해 부족, 감정 조절 어려움 |
공감 부족 | 친구가 다쳤을 때 무반응 | 상대 감정 해석이 어렵고, 표현도 서툶 |
사회적 고립 | 친구가 없어 혼자 놈 | 대화 방식이 부자연스러워 관계 형성 어려움 |
오해 / 불신 | 장난도 공격으로 받아들임 | 언어적 뉘앙스 이해 부족 |
자존감 저하 | “나는 친구 없어”, “난 안 돼” | 계속된 사회적 실패 경험 때문 |
부모님이 도와줄 수 있는 방법
화용언어장애가 의심될 땐 전문가의 평가와 함께, 집에서도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아이를 도울 수 있어요.
1. 감정 말로 표현하는 연습
“너 지금 기분이 어때?”, “속상할 땐 뭐라고 말할 수 있을까?” 같은 질문을 통해
감정을 행동이 아니라 ‘말’로 표현하는 습관을 길러주세요.
2. 역할극 놀이하기
인형이나 그림책 인물을 활용해서 상황극을 해보세요.
“친구가 네 장난감을 망가뜨렸어. 뭐라고 말할 수 있을까?”
다양한 사회적 상황에서 적절한 말과 행동을 연습할 수 있어요.
3. 상대의 반응 알려주기
“지금 네 말 듣고 친구가 슬퍼 보여. 어떤 말로 바꾸면 좋을까?”
즉각적인 피드백을 통해 사회적 단서를 인식하게 도와주세요.
4. 사회적 이야기(Social Story) 활용
특정 상황에 대해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이럴 땐 이렇게 말해요’를 알려주는 짧은 이야기예요.
반복적으로 읽으며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어요.
전문가 상담, 언제 필요할까요?
다음 중 여러 항목에 해당된다면 언어치료사나 발달심리 전문가의 평가를 받아보는 것이 좋아요.
조기 평가와 개입이 이루어지면, 아이의 사회성, 정서, 학습 능력까지 함께 좋아질 수 있어요.
다음 4부에서는 “화용언어장애와 자폐는 어떻게 다를까?”를 주제로, 비슷해 보이지만 중요한 차이점들을 알려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