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선 지능 [7부] 경계선 지능 아동의 학교생활, 무엇이 어려울까요?
“우리 아이가 학교에서 유난히 힘들어해요. 혹시 학습 부진 말고 다른 이유가 있는 건 아닐까요?”
경계선 지능(BIF,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을 가진 아동은 겉보기에는 ‘평범’해 보이지만, 학교에서 반복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초등학교 3~4학년부터는 학업 수준이 급격히 올라가며 격차가 뚜렷해지지요.
경계선 지능 아동이 학교에서 겪는 주요 어려움
1. 학습 이해력의 한계
예: 수학에서 단위를 혼동하거나, 문제 해결 단계를 잊는 모습
2. 언어 및 표현 능력 부족
예: 글을 써야 하는 수행평가에서 자신감 상실
3. 사회적 오해와 소외
예: 친구가 장난친 것을 심각하게 받아들여 다툼으로 번짐
4. 과제 수행력 및 실행 기능의 약화
예: “시험 공부를 했는데도 항상 놓친다”는 부모님 말씀
학교에서 어떤 지원이 필요한가요?
개별화된 학습 접근 |
예: 수업 끝에 “오늘 배운 핵심 3가지”를 다시 한번 정리해주는 방식 |
수행 과제 조정 |
|
사회적 기술 지도 |
예: 2~3명씩 짝지어 하는 협동 학습에 자주 참여하도록 조율 |
실행 기능 향상을 위한 환경 조성 |
|
부모님이 할 수 있는 지원은?
집에서의 연습 |
|
교사와의 꾸준한 소통 |
|
맞춤형 치료나 교육 연계 |
|
“내 아이는 왜 이것도 못할까?”
→ “이건 우리 아이에게 조금 더 연습이 필요한 부분이구나.”
“우리 아이만 계속 떨어지는 것 같아 걱정이에요.”
→ “우리 아이는 천천히 걷지만 멈추지 않고 나아가고 있어요.”
학교는 아이가 하루의 대부분을 보내는 중요한 공간입니다.
경계선 지능 아동은 ‘눈에 잘 띄지 않는’ 어려움 속에서 조용히 지치고, 상처받을 수 있습니다.하지만 부모님의 세심한 관찰과 학교와의 협력이 이어진다면,
아이도 “할 수 있다”는 경험을 하나씩 쌓아갈 수 있어요.다음 8부에서는, 성인기로 이어지는 경계선 지능 아동의 성장과 미래에 대해 이야기해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