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린 아이에게 꼭 가르쳐줘야 하는 말

by 그린
썸네일

 

느린 아이에게 꼭 가르쳐줘야 하는 말

 - 나를 알리는 말
 - 감사의 말
 - 도움의 말
 - 거절의 말
 - 칭찬의 말

 

 

느린 아이는 정상 발달 아이 보다 주변의 도움을 필요로 할 때나, 도움을 받아야 하는 순간이 참 많습니다.

도움을 받아야 할 순간에 자신에 대해 정확히 표현하고, 도움을 받은 것에 대해 다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따뜻하고 건강한 아이로 만드는 말은 무엇이 있을까요?

​​

 

 

나를 알리는 말

 

"나는 눈이 안 보여서 앞에 서야 해"

"나는 다리가 불편한 데 먼저 해도 될까"

"이건 스스로 할 수 있어"

친구나 사람들에게 자신의 불편한 부분들을 정확하게 알려주고 스스로 도움을 구할 줄 알아야 해요. 선생님은 아이의 상황을 알고 미리 도움을 줄 수 있지만 낯선 사람이나 친구들은 잘 모를 수 있거든요.

 

 

 

 

 

감사의 말

 

"고마워"

"감사합니다"

 

어쩔 수 없이 주변의 도움을 많이 받게 될 텐데, 그 걸 당연히 여기기 보다 스스로 할 수 없는 부분들은 감사한 마음으로 도움을 받고 그 감사함을 꼭 표현하도록 알려 주세요.

 

 

 

 

도움의 말

 

"도와줄까"

"빌려줄까"

"선물이야"

 

느린 아이라고 도움을 받는 것을 당연 시 여겨서는 안되죠. 아이의 주어진 상황 속에서 친구들에게 도움의 말을 할 수 있는 순간을 미리 만들고 준비합니다. 준비물이나 간식을 넉넉히 챙겨가는 것도 좋습니다.

 

 

 

거절의 말

 

"나는 이런 거 싫어해"

"안 하고 싶어(요)"

"불편해(요)"

 

낯선 상황에 대한 두려움 또는 친구의 마음을 불편하게 할까 봐 참는 경우가 많아요. 참지 말고 불편한 점에 대해 분명하되, 다정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칭찬의 말

 

"예쁘다"

"멋지다"

"훌륭해"

 

친구들의 옷차림, 표정, 준비물 등 사소한 칭찬을 자주 할 줄 아는 아이가 되도록 도와주세요. 선하고 긍정적인 말을 많이 하는 아이를 함부로 대하는 친구는 많지 않습니다.

 

 

 

혼자만의 속도로 아이가 뚜벅 뚜벅 걸을 수 있도록 기다려주세요.

선하고 성실한 태도로 자기 자신을 상황에 맞게 솔직하고 다정하게

잘 표현하는 아이로 자란다면 충분합니다.

 

 

콘텐츠 지원 : 그린 님

첫째 느린 아이를 키우는 두 아이의 엄마이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그린님 블로그 바로가기

 

 

스크랩
공유
이런 콘텐츠는 어떠세요?
1편: 장애 아동 가족 지원 사업이란?
1편: 장애 아동 가족 지원 사업이란?장애아동 가족지원 사업은 성장기 장애아동이 건강하고 안정적으로 발달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마련된 정부 지
by 키블
콘텐츠 썸네일
#2. [발달 체크리스트] 우리 아이 잘 크고 있나요? : 2개월 아기 발달
안녕하세요, 키블입니다! 2개월 아이의 사회성부터 소근육 운동까지의 발달 내용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ⅰ) 사회성​① 사회적 미소를 지어요 갓
by 키블
콘텐츠 썸네일
자폐스팩트럼장애 3부 ASD와 의사소통 어려움
자폐스팩트럼장애 3부: ASD와 의사소통 어려움 부모로서 아이가 또래보다 말을 늦게 하거나, 대화할 때 특정한 패턴이 보이면 걱정될 수 있어요.
by 키블
콘텐츠 썸네일
[발달검사] 베일리 검사 총정리
영유아의 종합적 발달을 파악하는 베일리검사• 1) 베일리 검사란?• 2) 베일리 검사의 구성• 3) 검사 방법• 4)검사 결과👉 생후 1개월부터 42개월까지 영유아 발달 정도를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베일리 검사는 정신 척도, 운동 척도, 행동평가 척도로 구성되고, 인지, 언어, 사회성, 운동 발달 영역에서 발달을 측정합니다. 발달이 지체된 소아를 진단하고 같은 연령의 또래와 발달 상태를 비교하여 소아의 발달상의 취약점 혹은 장점을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정신 척도(178문항): 인지발달, 언어발달, 개인 및 사회성 발달 수준 평가• 운동 척도(111문항): 운동의 질, 감각통합, 지각-운동 통합 정도를 평가• 행동 평가 척도(30문항): 아이를 관찰하고 평가하는 것을 평가하며 영아의 사회 정서적 행동을 측정 • 발달지수 115 이상 → 발달이 빠른 경우• 발달지수 85 ~ 115 사이 → 정상 범주• 발달지수 84 ~ 70사이 → 다소 늦은 경우• 발달지수 69이하 → 유의미하게 늦은 경우
by 키블
콘텐츠 썸네일
#2. 언어치료를 고려해봐야 하는 상황
언제 언어 치료를 고려해야할까요?• 1) 발달상태 정확히 인지하는 법• 2) 언어치료를 고려해봐야 상황👉 치료 결정 전 자녀의 발달상태를 정확히 인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영유아 건강검진, 언어평가, 다른 발달 문제 점검이 필요합니다. 언어의 목적인 “의사소통”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거나 다음 체크리스트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치료를 고려해보세요. 👀 [현재 발달상태 정확히 인지하기] 요약•발달은 다양한 영역이 상호간에 영향을 주며 발달합니다.•영유아건강검진 등 발달선별검사 체크리스트를 자주 활용해보세요.•보통의 24개월 아동은 언어의 폭발기를 겪습니다. 위 체크리스트에 해당되면 정밀 검사를 받아보세요.
by 의사 함경우
콘텐츠 썸네일
경계선 지능 [5부] 감정 조절과 정신 건강 문제
경계선 지능 [5부] 감정 조절과 정신 건강 문제“왜 우리 아이는 자주 불안해하고, 짜증을 내고, 친구들과 어울리기 어려울까요?”경계선 지능(B
by 키블
콘텐츠 썸네일
상호명: (주)키블 | 대표자: 함경우 | 개인정보취급담당자: 함경우
사업자등록번호: 169-88-02834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520, 삼안빌딩 14층
KIVEL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