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HD [5부] ADHD, 어떤 치료가 도움이 될까요?
ADHD 진단을 받으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걱정이 바로
“약을 꼭 먹어야 하나요?”, “평생 약을 써야 하나요?” 같은 질문이에요.
하지만 ADHD는 단순히 약만으로 해결하는 게 아니라,
아이의 행동을 이해하고 환경을 조율하는 다각도의 치료가 필요하답니다.
ADHD 치료, 무엇이 있을까요?
ADHD 치료는 아이의 연령, 증상 정도, 환경에 따라 다르게 접근해요.
보통 아래 네 가지 방법이 함께 사용돼요
1. 약물 치료 증상 조절을 돕는 ‘도구’ |
ADHD 치료에서 약물은 뇌의 활동을 조절해 주의력 향상, 충동성 조절, 과잉행동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어요. |
대표적인 약물 종류 |
1. 자극제(예: 메틸페니데이트, 암페타민 계열)
2. 비자극제(예: 아토목세틴)
약물 치료 시 주의할 점
|
2. 행동치료 아이의 행동을 긍정적으로 바꾸는 훈련 |
약물 없이도 아이의 삶을 바꿀 수 있는 중요한 치료법이에요. 특히 6세 미만의 어린 아이에게는 약물보다 행동치료가 먼저 권장돼요. |
어떤 걸 하게 되나요? |
누가 참여하나요?
|
3. 부모 교육 아이의 ‘행동 언어’를 이해하는 시간 |
ADHD 아이를 키우는 부모는 때로는 정말 지치고 답답해요. 하지만 아이의 행동을 이해하고 대응법을 알면, 부모도, 아이도 모두 편해질 수 있어요. |
부모 교육에서 배우는 것들 |
|
4. 학교와 함께하는 치료 아이의 또 다른 삶의 공간 |
ADHD는 학교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요. 그래서 학교와 협력하는 것이 치료의 중요한 축이에요. |
학교에서 할 수 있는 지원 |
|
치료는 한 번으로 끝나는 게 아니에요
ADHD 치료는 아이의 성장과 함께 계속 조정되고 반복돼야 해요.
좋은 치료 계획이란?
✔ 증상이 얼마나 좋아졌는지 계속 확인하기
✔ 약의 효과와 부작용 모니터링
✔ 아이와 가족의 상황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하기
ADHD는 아이의 일부일 뿐, 아이의 전부는 아니에요.
중요한 건, 아이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그에 맞는 환경과 도움을 주는 것이에요.
약도, 훈육도, 치료도 정답은 한 가지가 아니라 ‘우리 아이에게 맞는 것’을 찾는 과정이랍니다.다음 6부에서는 “우리 아이가 ADHD 진단을 받았어요, 이제 무엇을 해야 할까요?”
라는 부모님의 고민에 대해 하나씩 짚어드릴게요.